본문 바로가기

경기도通

분석 l 적자논란 시민구단, 해법은?

시민참여·재원확보 ‘두 마리 토끼’ 잡아야
道 독립리그 연 최소 57억원 소요… 협동조합구단 설립이 관건


 

 

▲시민구단의 자금난을 보완해 줄 대안으로 협동조합구단이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지난 2013년 출범한 부천야구협동조합의 경기 모습.

2014년 새해, 성남시민프로축구단이 공식 창단한다. 이는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처음 탄생하는 시민구단이자 국내에서는 인천유나이티드, 대전시티즌, 대구FC, 경남FC에 이어 6번째 탄생하는 시민구단이다. 이를 위해 성남시는 지난해 12월 9일 통일재단과 성남일화구단 인수를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10월 2일 성남구단의 시민구단 재창단 결정 이후 2개월만의 일이다.
시간은 짧았지만 프로축구단 성남일화가 성남시민구단으로 다시 태어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의회 통과가 한 차례 무산됐고, 재심 통과를 위해 이재명 시장은 의원들을 직접 만나 설득하는 것은 물론, 호소문까지 돌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진통 끝에 태어난 성남시민구단.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히 높다. 창단 후 운영의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시민구단 적자 논란
시민구단을 둘러 싼 ‘진통’의 이유는 단순하다. ‘재정’ 때문이다. 성남일화를 꾸려 가는데 필요한 ‘돈’은 연간 100억~150 억원에 이른다. 이중 상당액을 시가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니 의회의 반대가 심할 수밖에 없다. 물론 시는 시의 부담을 최소화시키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초기경비는 시민공모주 모집을 통해 30억원 정도를 충당하며, 광고유치나 후원회 모집 등을 통해 경비 부담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실시한 시민 공모주 예비청약에는 한달 만에 1만여명, 약 5억원이 모였다. 그럼에도 시측은 연 간 50억~100억원 정도를 시가 부담해야 할 것으로 본다. 당장 내년도 지원 예산이 70억원으로 상정돼 있다.
이는 성남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 2월 창단과 함께 국내 2부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FC안양의 경우 2012년 창단준비금 지원 조례안이 두 차례나 부결되는 등 난항을 겪은 끝에 10월 본회의에서 간신히 통과됐다. 올해부터 프로리그에서 뛰게 된 부천FC의 경우도 지원 관련 조례가 지난해 12월 간신히 의회를 통과됐다. 두 사례 모두 문제는 ‘돈’이었다. 두 지자체 모두 ‘2013~17년 5년간 55억원 지원’에 ‘3 년 후 재평가’라는 단서조항을 붙이고서야 의회를 통과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시민구단의 재정문제는 비단 경기도에 국한되지 않는다. 2003년 국내 최초의 시민구단인 대구FC가 출범한 이래 지난 10년 동안 시민구단은 전국 지자체에 ‘짐’으로 여겨져 왔다. 강원FC는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직원 급여를 연체했고, 인천유나이트는 직원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사채까지 썼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재정난에 허덕이던 경남FC 지원을 위해 새로운 기업대표를 대거 재정 이사로 영입했으며, 대구FC 는 재정난으로 대표가 사퇴했다가 번복하는 해프닝을 빚기도 했다.



협동조합구단이 대안
시민구단이 만성적인 적자 논란에 시달리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협동조합구단’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재광 선임연구위원은 ‘독립리그를 위한 야구협동조합 설립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협동조합구단은 기업의 이해관계에 매몰되지도 않고, 시민구단처럼 지나치게 지자체에만 의존하지도 않는다”며 “스페인의 명문구단 FC바로셀로나처럼 프로스포츠 영역에서도 얼마든지 협동조합 형태의 구단이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성공할 수 있다는 좋은 사례가 있다”라고 밝혔다.
프로스포츠구단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대기업이 운영하는 ‘기업소유구단’ 과 지자체 주도의 ‘시민구단’, 협동조합의 법인격으로 활동하는 ‘협동조합구단’이다.
기업소유구단은 대기업의 자금력과 마케팅 능력이 최대 강점이다. 하지만 선수와 매각 등 구단 운영의 대부분이 연고 지역 팬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기업의 이해관계에 따라 진행된다는 게 단점이다. 성남일화 축구단은 그 대표적인 사례로, 성남시민의 뜻과는 무관하게 구단의 모기업인 통일그룹의 내부 사정으로 재정지원을 끝냄에 따라 해체 위기까지 맞았다.
이러한 기업구단의 단점을 보완한 게 시민 구단이다. 지자체 주도로 다수의 시민이 소액자금을 출자, 구단경영에 직접 참여하는 시민구단은 지역 주민 및 팬과의 일체감 형성으로 지역사회의 화합과 통합의 역할을 담당한다. 문제는 자금난이다.
구단을 지원할 모기업이 없는 상태에서 구단운영의 부담은 지자체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시민구단의 자금난은 우수 선수 영입을 곤란하게 만들고, 이는 경기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매년 대부분의 시민구단이 하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 두 구단의 강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한 게 협동조합구단이다. 협동조합구단의 적극적인 지역주민 참여와 지역밀착 경영은 시민 구단의 강점과 유사하다. 여기에 더해 협동 조합구단은 시민구단의 자금력 부족 문제를 해소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강점이 있다.
이 연구위원은 “협동조합은 기본적으로 적정 규모의 이윤을 추구하는 사업체”라며 “조합원의 출자금과 연회비, 부대사업 등을 통해 얼마든지 지속경영을 꾸려갈 능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실례로 세계적인 명문 축구구단 FC바로셀로나는 17만3,000명의 조합원을 주축으로 꾸려지는 협동조합이다.

독립리그운영의 필수조건
현재 경기도는 협동조합구단 설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1월 프로야구 제10구단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2015년 야구 독립리그 출범을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도는 인구 40만명 이상의 시와 해당 지역 유망 중소·중견기업의 공동 신청을 받아 실업야구단 6곳을 창단한 뒤 2015년부터 ‘경기도지사배 한국독립리그 선수권대회(가칭)’를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문제는 리그 운영을 위한 ‘재정’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이다. 독립리그를 꾸려가기 위해서는 최소 4개 구단, 각 구단별 연간 운영비 12억원과 사무국 운영비 9억원 등 최소 57억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독립리 그는 수익성이 불투명한 만큼, 이런 막대한 투자를 하면서 참여할 기업은 거의 없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이 연구위원은 “기업 부담을 최소 경비의 50%선인 6억원으로 낮추고 나머지를 메인 스폰서와 경기도, 구단 연고 시·군이 부담해야 한다”며 “또 신설 구단 가운데 하나를 협동조합구단으로 만들어 재원을 조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협동조합구단은 지자체의 초기 지원과 조합원 확보, 지역에 맞는 적합한 수익모델 창출을 통해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 만큼, 시민구단보다 자금력 확보 가능성이 크다고 이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특히, 이 연구위원은 도내 협동조합구단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도내에 신규 협동조합수가 많고 협동조합의 역사와 뿌리가 깊다는 점, 그리고 조합원 제1후보가 될 수 있는 사회인야구인이 다른 지역보다 많다는 게 그 이유다.
실제로 지난해 8~10월, 사회인야구인 18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83.6%가 연고지 내 협동조합구단 설립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위원은 “시민구단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이 매년 수십 억원에 달하는 상황 이어서 협동조합구단으로의 전환 모색은 충분한 가치를 갖고 있다”며 “시민구단이 시민참여를 통한 지역과의 일체감을 높이 는 효과가 있지만, 경영능력 부족으로 큰 적자를 보는 반면 협동조합구단은 시민구단의 장점을 가진 동시에 자금부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미영 기자 l misaga@gfe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