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계 유연성 훈련법
당신이 매일 땀을 흘리면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요즘 헬스장에 가보면 남녀노소를 불문 하고 덤벨과 바벨을 들어 올리는 이들이 부쩍 늘었다. 매스컴 등을 통해 근력의 중 요성이 대두되면서 과거 런닝머신에서 달 리기에 열중했던 사람들이 다양한 운동기 구를 활용한 운동법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덤벨과 바벨을 잡았다는 것은 저항성 훈 련을 한다는 의미다. 중량에 대항하는 저 항성 훈련은 그 어떤 운동보다 근력과 근 육량 증가에 탁월한 효과를 준다.
하지만 이 저항성 훈련은 필연적으로 염 좌나 지연성근육통(DOMS), 흔히 ‘알이 배었다’고 표현하는 크고 작은 부상을 동 반한다는 게 문제다. 특히 이 크고 작은 부상들을 간과했을 때에는 더 큰 문제로 이어진다.
우선 저항성 훈련 시 피하기 힘든 크고 작은 부상들이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면, 저항성 훈련은 그 행위 자체만으로도 유연성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유연성은 인체의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 과 근육에 관계된 관절을 둘러싼 근육이 최대한 어디 범위까지 관절을 움직일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능력을 말한다. 즉, 동 작을 원활히 하거나 부상을 예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게 바로 이 유연 성이다. 일반적으로 유연성의 크기는 관 절의 가동범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저항성 훈련 시 늘어난 근육은 물리적으 로 관절의 가동범위를 떨어뜨린다. 또 근 막이나 인대 등 결체조직에서 발생하는 염좌는 회복과정에서 섬유화를 발생시켜 근육의 탄력을 떨어뜨리고 유연성을 감 소시킨다. 이렇게 유연성이 떨어지다 보 면 움직임이 큰 동작 등 유연성이 필요한 동작에서 근육을 긴장시켜 통증을 유발 하게 된다. 최악의 경우 통증으로 인해 운동을 중단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오십견’이다. 어깨 관 절은 매우 불안정한 구관절의 형태로 이 뤄져 있다. 그만큼 다른 부위보다 인대와 건이 복잡하게 자리 잡고 있어 부상에 취 약하다. 그리고 이러한 건이나 인대, 연 골, 근육 등은 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 문에 추운 겨울철에는 더욱 위축되어 있 고 반복적인 동작을 해도 여간해서는 잘 늘어나지 않는다. 때문에 선수생활을 오 래한 베테랑들은 겨울철에 무리해서 무거 운 중량을 들지 않는다.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저항 성 훈련은 선수생명을 줄이는 자살행위라 는 것을 경험을 통해 잘 알기 때문이다.
자, 그렇다면 운동 전 유연성을 키워 부 상을 예방하기 위해 서는 어떤 준비를 해 야 할까. 위의 3단계 유연성 훈련법에 주 목하자.
'라이프通'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역사기행|화성 제암리 (0) | 2013.03.18 |
---|---|
Festival (0) | 2013.03.11 |
新대동여지도|경기도 안성 (0) | 2013.03.11 |
나의 컬렉션|박국진 고전문학가의 <세계문학 우표> (0) | 2013.03.08 |
톡톡 이달의 앱(APP) | 돈 버는 어플 (0) | 2013.02.21 |
힐링에세이 | 유머가 곧 힐링이라 (0) | 2013.02.18 |
경기도 역사기행 | 광주 지수당(地水堂) (0) | 201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