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通

니하오! 차이나|신성장동력 ‘스마트시티’

신 성장 동력 ‘스마트시티’
대륙에 부는 선진·첨단도시 건설 붐


▲중국 닝샤지역 정부와 통신서비스 업체 관계자들이 사물지능통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모델에 대해 방문객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도시화는 미래 중국의 경제성장을 위한 거대한 엔진이다.” 3월 중국의 신임 총리에 오르는 리커창 상임부총리가 지난해 11월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에 쓴 기고에서 강조한 말이다.
올 3월부터 10년 동안 중국을 이끌어 갈 시진핑-리커창 지도부의 우선 정책으로는 공평, 분배와 함께 도시화가 꼽힌다. 이 중 도시화는 중국 공산당과 정부가 진력을 다하는 경제발전 방식 전환과 내수 확대, 산업 구조조정에 있어 가장 큰 잠재력이 있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시진핑 체제의 도시화 정책은 중국의 70%를 차지하는 농촌지역을 도시화하고 중소도시의 도시화율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도시화는 앞으로 중국경제 10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칠 키워드이자 새로운 성장동력인 셈이다.
중앙정부는 전체 인구에서 도시 거주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인 도시화율을 2011년 기준 51.3%에서 2020년에 60%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시진핑 정부의 도시화 모델로 등장
특히 시진핑 체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도시화의 실체적 모델은 이른바 ‘스마트시티(智慧城市. Smart city)’이다. 스마트시티는 요즘 중국 정부와 산업계,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단어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가정·교통·전력·방범·의료·교육·소비·금융·환경·에너지·농업·빌딩·민원 등 여러 방면에 활용하는 지역을 일컫는 개념이다. 중국에서도 요즘 뜨고 있는 차세대 정보기술인 사물지능통신(M2M Machine to Machine)을 비롯해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기술, 모바일 인터넷 등이 융합해 스마트시티를 지탱하게 된다. 스마트시티는 도시정보화 발전의 고급 단계로 볼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통해 주민 삶의 질 향상뿐 아니라 공공 서비스환경 개선, 나아가 최근 극심해진 도시내 대기오염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다.
중국 국가정보화전문가자문위원회 왕위카이 위원은 “스마트시티는 ‘디지털 도시’의 기초 위에 첨단 정보기술을 더욱 광범위하게 응용하는 도시”라며 “인터넷과 사물지능통신, 클라우드 컴퓨팅,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도시 인프라와 공공시설에 대한 감지 능력을 크게 끌어 올림으로써 사회관리·공공서비스 능력, 생활수준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시범지역 90곳 첫 선정
중국 중앙정부는 지난해 말 스마트시티 시행을 위한 구체적 정책을 처음으로 내놓았다. 주택·도시농촌건설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국가 스마트시티 시범지역 공작(업무) 전개에 관한 공지’는 스마트시티를 추진할 지방 정부들에게 교통, 에너지 공급, 폐기물 처리, 환경감시, 의료정보화 등 도시시설을 스마트관리 측면에서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어 주택·도시농촌건설부는 지난해 말까지 스마트시티 구축을 희망하는 지방 정부들로부터 신청을 받은 뒤 심사를 거쳐 지난 1월 말 첫 국가 ‘스마트시티’ 시범지역 명단을 발표했다. 첫 스마트시티 시범지역에는 90개 지역이 선정됐다. 이중 37개는 지방급 도시이고,50개는 구(또는 현)이며, 3개는 현 아래의 진이다.
이들 시범지역은 앞으로 3~5년 안에 스마트시티의 초보적 건설을 마치게 된다. 이어 정부 유관 기관은 평가를 실시해, 이를 통과한 시범지역(구, 진)에 대해 등급 평점을 진행하게 된다.
주택·도시농촌건설부와 국가개발은행은 최근 협의를 맺고 앞으로 3년 동안 스마트시티 건설 프로젝트에 800억위안을 투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시범지역의 선발, 조사, 자금 지원 등을 공동 진행하기로 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 정보화추진사(司) 동바오칭 부사장은 “800억위안에 달하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투자액은 산업의 업그레이드와 경제 발전에 이바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600~800개 도시 ‘스마트시티’건설
중앙정부가 이번에 전국 90개 지역을 첫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기에 앞서 이미 전국적으로 320개 도시가 스마트시티 건설에 뛰어들었다. 중국 정부는 ‘12차 5개년 계획’(2011~2015) 기간에 600~800개 도시가 스마트시티를 건설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주택·도시농촌건설부 예측에 따르면, 12차 5개년 계획기간 스마트시티 시범지역 건설에 들어갈 전체 투자규모는 5,000억위안(88조원 안팎)에 달할 전망이다. 게다가 전국에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창출할 주변 산업까지 합치면 전체 시장규모는 2조위안(350조원) 가량에 이를 것이라는 게 중국 당국과 산업계의 추산이다.
실제 중국 각지에서는 최근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는 등 지방정부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투자 의욕이 넘치고 있다. 지방정부들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낙후된 지역경제를 빠르게 부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삼고 있다.
최근까지 전국 47개 성도 가운데 43개 도시는 스마트시티 발전 전략을 내놓았다. 또 36개가 넘는 지방정부와 120개 구·현도 스마트시티 건설에 착수했다. 스마트시티 구축에 나서지 않는 도시나 지역은 ‘도시 축에도 못 든다’는 말이 나돌 정도다.

운영시스템 부재 등 문제점도 많아
한편으로 중국 전역에서 스마트시티 구축 열기가 높지만 여러 제약과 문제점도 드러나고 있다.
무엇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전국 80% 이상의 도시가 스마트시티를 추진하려고 하지만,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중앙정부 기관과 최상층부의 거시적 설계, 지도, 통일적인 규범과 기술기준, 법률제도가 미흡하다는 것. 게다가 지방도시들은 스마트시티를 위해 도입한 첨단 시스템을 운영할 경험이나 관리체계도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정보기술업계 전문가들은 “중국에서는 스마트시티를 위한 기획, 설계, 공사, 감리, 시스템 신뢰성, 보안성 테스트, 운영 유지 방면에서 통일되고 명확한 법규가 아직 없다”고 말한다. 중국전신 상하이연구원의 리안민 원장은 전국의 스마트시티 건설 붐과 관련, “기대치가 너무 높고, 과열 위험이 상존하며, 유효한 지표체계를 통한 인도가 부족한 점 등 크게 3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중국 내 스마트시티 건설이 정체되고 맹목성과 이른바 ‘외딴섬’ 현상까지 띠고 있다는 지적이다. 나아가 중복투자와 자원낭비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국가정보화전문가자문위원회 왕위카이 위원은 “스마트시티가 첨단 기술들을 무질서하게 쌓는 것에 그친다면 또 다시 대규모 중복 건설을 야기해 결국 스마트시티는 실패하고 말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마트시티 ‘파이’ 노려볼만
이처럼 중국 전역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스마트시티는 앞으로 여러 해 동안 중국 산업·시장 수요면에서 열기와 관심이 높은 동시에 정부의 지원도 큰 분야가 될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한마디로 스마트시티의 전도가 매우 유망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중국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한국 기업들에게도 분명 호재다. 중국 쪽도 한국의 첨단 시스템 운영 기술과 경험, 서비스 노하우에 여전히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일부 기업을 비롯해 외국의 유수 기업들은 중국 정부 및 기업들과 손잡고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뛰어들고 있다. 앞으로 중국 전역의 스마트시티 건설 과정과 운영 단계에서 우리 기업들의 진출이 예상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중국의 지역마다 다른 공공 인프라와 자원 수준, 정보화 수준, 지역적 특성, 요구 내용을 면밀하게 조사해 그에 걸맞는 전략과 기술, 서비스를 가지고 접근하는 게 필요해 보인다.
아울러 중국의 신형 도시화가 스마트시티가 가져올 도시인구 증가를 비롯 농민공의 도시민화, 도시민 생활수준 향상을 겨냥해 제품과 서비스 공급전략을 짜는 것도 필요하다. 앞으로 중국의 스마트시티가 만들어 낼 어마어마한 ‘케이크’를 우리 기업들도 적극 노릴 때다.